'해파랑길'은 부산 오륙도에서 출발, 강원 고성 통일전망대를 잇는 688km의 국내 최장거리 걷기코스다. 문화부의 주도로 구역별 각 지자체들이 참여했으며 동해안 해변길, 숲길, 마을길, 해안도로 등을 연결했다. 문화부는 2014년까지 170억 원을 투입해 친환경적이면서 이야기가 있는 걷기길로 만들어 나간다는 계획이다. 지자체별로 차이가 있지만 아직 걷기길이 완성된 건 아니다.
↑ [월간산]깨끗한 영랑호 물결 위로 설악산 쪽으로 기우는 햇살이 감미롭게 비친다. |
명칭은 공모를 통해 결정한 것으로 동해의 상징인 '떠오르는 해'와 푸른 바다색인 '파랑', '~와 함께'라는 조사의 '랑'이 합쳐 '떠오르는 해와 푸른 바다를 바라보며 파도소리를 벗삼아 함께 걷는 길'이란 뜻이 담겨 있다. 해파랑길 688km에는 동해안의 특성을 대표하는 4가지 테마가 담겨 있다. 동해의 아침, 화랑순례, 관동팔경, 통일기원의 큰 테마로 나누고 다시 지역, 길이, 소테마, 핵심거점(항구나 해수욕장 등)을 기준으로 40개 세부 구간으로 나뉜다.
일출맞이 걷기코스로 소개할 해파랑길은 속초구간이다. 속초구간은 춘천고속도로가 있어 서울에서 2시간 만에 닿을 수 있고 설악산과도 가까워 관광과 산행을 겸한 여행지로 안성맞춤이다. 정동진이나 대청봉처럼 너무 많은 인파에 시달리지 않아도 되니 편하고 실속 있는 일출코스로 볼 수 있다. 속초시청 고만주(42)씨와 함께 해파랑길 속초구간을 둘러보았다.
↑ [월간산]대포항 시장골목. 여느 시장횟집에 비해 가격이 비싼 편이다. |
시작과 동시에 오른편으로 자갈해변이 펼쳐진다. 해안의 바위에는 인어연인 동상이 섬세하게 조각되어 있다. 해맞이공원은 원래 내물치마을이 있던 곳이었으나 1977년 풍랑으로 마을이 초토화되어 주민들을 이주시키고 공원으로 만들었다. 당시 내물치마을에서 물질을 하며 살던 한 처녀가 있었는데 결혼을 약속한 사내가 풍랑에 조난당해 돌아오지 않아 약혼자를 그리워하다 죽었다 하여 그들의 사랑이 이루어지길 바라는 마음에서 동상을 세웠다고 한다. 그래서인지 동상 앞에는 '사랑이 이루어지는 인어상'이란 안내문이 있다.
해안길은 7번국도 곁을 따라 이어지며 1km를 가면 대포항 횟집단지에 이른다. 대포항 골목을 따라 생선가게, 튀김가게, 횟집, 건어물가게 등이 늘어서 있다. 횟집에선 호객행위를 하는데 가격이 저렴하지는 않다며 그나마 영금정 인근 횟집이 조금 더 낫다는 게 고만주씨의 귀띔이다. 지금의 대포항과 달리 과거에는 부산~포항~묵호에 이어 동해안에서 큰 포구였다고 한다.
↑ [월간산]유일한 흙길 구간인 외옹치. |
눈이 닿는 끝까지 펼쳐진 겨울 속초 해변을 걷는 경험도 이색적이다. 바닷바람이 매섭지만 연인, 가족, 친구 등과 함께 걷기 좋은 먼 길이다. 해변을 따라 포장길이 이어진다. 해변을 지나면 청호동 아바이마을로 연결된다. 아바이마을은 6·25 때 원산에서 온 피란민들이 전쟁 끝나면 바로 북으로 가려고 이곳 바닷가에 자릴 잡아 생겼다. 청호대교 아래에는 청호동과 중앙시장을 잇는 갯배가 있다. 드라마 가을동화의 배경으로 나오면서 유명해졌고 지금도 외국관광객들이 찾는 필수 코스다.
동명항과 청초호를 잇는 뱃길이라 다리를 놓을 수 없다고 한다. 덕분에 5.3km를 1분 만에 지나는 갯배다. 요금 200원. 마을에서 자치적으로 운영하는데 시에서 보조금이 없으면 적자라고 한다. 원래 일본 사람이 많았는데 요즘은 대만과 홍콩 사람들이 많이 찾는다고 한다. 갯배는 줄로 연결되어 있는데 아바이마을 사람들은 요금을 내지 않는 대신 타면 으레 사공을 도와 줄을 당긴다고 한다. 예스러우면서도 인간미가 담겨 있다.
↑ [월간산]해파랑길은 속초해수욕장을 지난다. |
영금정을 지나면 해파랑길은 해안길에 대한 집착을 버리고 내륙으로 들어가는데, 영랑호 둘레를 따라 도는 코스다. 영랑호 둘레는 시에서 데크를 깔고 산책코스를 조성해 주민들이 운동하는 모습을 쉽게 볼 수 있다. 해안길이 시원하고 남성적이었다면 영랑호 둘레길은 아기자기하고 여성적이다. 내륙의 설악산을 보며 걷는 재미와 호수의 잔잔함을 더해 섬세한 재미가 있다. 특히 범바위는 이름처럼 호랑이를 닮은 바위로 속초8경 중 하나이자 영랑호의 백미다. 그러나 영랑호 둘레길만 5km가 넘어 긴 편이다. 영랑호를 돌아 나오면 다시 해안을 따라 북쪽으로 올라가 장사항에서 끝을 맺는다.
걷기 길잡이
해안길과 영랑호
둘레길 연결한 명소 탐방로
↑ [월간산]해파랑길 속초구간의 들머리인 설악해맞이공원. |
일출 명소는 여러 곳 있다. 출발지인 설악해맞이공원, 외옹치 부대초소, 속초해변, 영금정 전망대 등이다. 날이 좋으면 바다를 뚫고 떠오르는 시원한 해맞이를 할 수 있다. 의외의 명풍경은 영랑호에서 본 해넘이다. 설악산 등성이 너머로 해가 지는 장면과 호수에 노을이 비치는 장면이 조화를 이루어 곱다.
해파랑길 속초구간은 20km가 넘고 대부분 콘크리트길을 따르도록 되어 있다. 해안길 특성상 바닷바람이 세고 볕에 노출되어 있어 걸어서 완주하기는 쉽지 않다. 자전거로 돌기 좋은 편이며 차로 천천히 운행하며 명소에서만 내려서 둘러보는 것도 방법이다. 해파랑길 속초구간에서 차로 갈 수 없는 지역은 외옹치와 갯배를 타고 지나는 곳뿐이다.
↑ [월간산] |
해파랑길은 이정표와 표지기 작업이 아직 완성되지 않았다. 2012년 봄을 기준으로 제대로 된 모습을 갖출 계획이라고 한다. 명소를 기준으로 해안선을 따라 북쪽으로 간다는 큰 틀을 지키면 길을 놓칠 염려는 없다. 영랑교에서는 내륙의 영랑호를 따라 한 바퀴 돈다. 영랑호의 카누협회 옆에 자전거여행안내소(대여)가 있다.
교통
속초 시외버스터미널에서 22, 1, 9, 7, 13번 버스를 타고 설악동 입구에서 하차하면 설악해맞이공원이다. 장사항에선 7, 9번 버스를 타고 고속버스터미널로 돌아올 수 있다. 설악해맞이공원에 유료 주차장이 있다. 30분 700원. 강남고속버스터미널에서 속초행 고속버스가 1일 24회 운행하며, 동서울터미널에서 1일 22회 운행한다. 승용차로 갈 경우 춘천고속도로를 타고 동홍천JC에서 나와 인제를 거쳐 미시령터널을 거치면 2시간~2시간 30분이면 닿는다.
맛집
(지역번호 033) 속초에 왔으면 순대를 먹어봐야 한다. 아바이마을의 은서네집(635-2897) 아바이순대와 오징어순대가 먹을 만하다. 속초관광수산시장 내에 있는 만석닭강정(632-4084)이 유명하다. 뼈째 튀긴 닭고기가 바삭하고 안은 부드럽고 쫄깃한데다 청양고추와 조청의 맛이 궁합을 이뤄 맛있다. 갯배선착장 부근의 88생선구이(633-8892)는 TV 예능 프로그램 1박2일에 나온 맛집이다. 역시 1박2일에 나온 유명 맛집인 아바이마을 단천식당은 지난 12월 초 화재로 소실되었다.
'여행 테마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마존강(Rio Amazonas) (0) | 2012.02.10 |
---|---|
백제인의 웅숭깊은 예술혼 서린 고즈넉한 고도 (0) | 2012.02.08 |
야! 겨울이다, 방방곡곡 신나는 체험여행지 베스트7 (0) | 2012.02.06 |
초겨울 제주로 떠나는 별미기행 (0) | 2012.02.04 |
전국 스키장 정보를 알아보자 ~!! (0) | 2012.02.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