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용본초 각론 (석류)
지름 6~8cm에 둥근 모양이다.
단단하고 노르스름한 껍질이 감싸고 있으며, 과육 속에는 많은 종자가 있다. 먹을 수 있는 부분이 약 20%인데, 과육은 새콤달콤한 맛이 나고 껍질은 약으로 쓴다. 종류는 단맛이 강한 감과와 신맛이 강한 산과로 나뉜다.
원산지는 서아시아와 인도 서북부 지역이며 한국에는 고려 초기에 중국에서 들어온 것으로 추정된다. 현재 중부와 남부지방에서 정원수와 과수로 재배한다.
주요 성분은 당질(포도당·과당)이 약 40%를 차지하며 유기산으로는 새콤한 맛을 내는 시트르산이 약 1.5% 들어 있다.
수용성 비타민(B1·B2·나이아신)도 들어 있으나 양은 적다. 껍질에는 타닌, 종자에는 갱년기 장애에 좋은 천연식물성 에스트로겐이 들어 있다.
석류꽃은 맛이 시고 떫으며 성질은 평하다. 엽차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꽃으로 만든 엽차는 장을 편안케 하는 정장 작용을 하는 것으로 전해진다. 정장을 위해서는 하루 10g정도의 꽃을 달여 먹되 너무 많은 양을 한꺼번에 먹으면 도리어 몸에 해롭다.
석류꽃은 코피, 중이염, 토혈, 월경불순, 화상, 치통, 고름이 흘러나온 것을 방지한다. 치통을 치료하려면 달여서 차 대신 자주 복용한다. 4~8그램을 물로 달이거나 가루내어 복용한다. 외용시는 가루내어 뿌리거나 개어 바른다. 코피가 날 때 석류꽃 적당량을 가루내어 한 번에 1푼을 콧구멍에 불어 넣는다.
구규에서 비롯되는 출혈에 석류꽃을 비벼서 삽입한다. 칼로베인상처에는 석회 한되, 석류꽃 300그램을 찧어서 가루내어 소량을 바른다.
석류껍질은 한방에 석류피라 하여 설사, 이질, 복통, 대하증 등에 수축제로 사용하고 각종 기생충 특히 촌충의 구충약으로 쓴다.
촌충 구제를 위해서는 하루 50g을 달여 2, 3일 계속 먹는다. <동의보감>에는 목안이 마르는 것과 갈증을 치료하는 약재로 석류가 쓰인다고 한다. 나무뿌리의 껍질을 짓찧어 뽑아낸 즙은 무좀에 더없이 좋은 치료제가 된다.
열매와 껍질 모두 고혈압·동맥경화 예방에 좋으며, 부인병·부스럼에 효과가 있다.
특히 이질이 걸렸을 때 약효가 뛰어나고, 휘발성 알칼로이드가 들어 있어 기생충, 특히 촌충 구제약으로 쓴다.
과즙은 빛깔이 고와 과일주를 담그거나 농축과즙을 만들어 음료나 과자를 만드는 데 쓴다. 올리브유와 섞어 변비에 좋은 오일을 만들기도 한다. 나무와 껍질 및 뿌리에는 피레치에린 아소피에치에린 메칠피에치에린 등의 알카로이드를 함유하고 있고 타닌산등을 갖고 있다.
♠ 설사 ㆍ 이질 ㆍ 자궁부정출혈 ㆍ 장출혈 ㆍ 이슬 ㆍ [유정] ㆍ 탈황 등에는 하루 3 ∼ 5g을 달임약 ㆍ 가루약 형태로 먹는다.
♠ 임산부가 [적백리로] 피곱이 섞인 설사를 하면 석류껍질(약간볶은것) 120g ㆍ 아교(누렇게 볶은 것) ㆍ 당귀(약간 볶은 것) ㆍ 당귀(약간 볶은 것) 각 40g, 천궁 1.2g을 가루내어 한 번에 4g 씩 염부추(해채) 죽으로 먹는다.
♠ 탈황에는 석류껍질 8g을 1회분으로 달여 하루 3번 1주일 정도 먹는다.
※ 영양성분 함량 : 수분 81.1%, 탄수화물 17.6g, 칼슘 8mg, 인 15mg, 비타민 C 10mg.
이탈리아 나폴리 대학 의과대학 임상병리학교수 클라우디오 나폴리 박사는 미국 국립과학원 회보 최신호에 발표한 연구보고서에서 석류가 동맥벽의 지방퇴적을 막고 심근세포의 건강을 지켜주는 효과가 있다고 밝힌 것으로 미국의 헬스데이 뉴스가 22 일 보도했습니다.
◈ 석류차 ◈
만드는 법
◈ 석류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