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종효능~!!

강화약쑥의 효능 ~!!

코알㉣r 2012. 7. 30. 00:53

강화약쑥(사자발쑥)

 

 

 

 

 

 

 

 

 

 

쑥은 우리나라 어디서나 자라는 아주 흔한 식물이면서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고,

쑥이 몸에 좋다는 건 많은 사람들이 알고 있는 사실입니다.

쑥은 국화과의 다년생 식물로 분포지역이 넓고, 국내에는 30여종이 있고 약쑥은 애엽.황초.구초라고 하여

한방에서는 중요한 약초로서 사용되고 최근에는 쑥즙, 쑥차, 쑥환, 화장품, 여성생리대에도 사자발쑥이 포함되어 있으며

베개나 이불,방석에도 사자발쑥 성분을 포함시켜 다양한 상품으로 개발되어 이용범위가 확대되고 있습니다.

 

쑥의 종류는 30여종으로 그 중에서도 강화약쑥이 유명 합니다.

강화약쑥은 강화도에서 나는 쑥 중에서도 사자발쑥과 싸주아리쑥 둘만이 강화약쑥이라고 합니다.

사자발쑥은 쑥잎 모양이 엎어 놓으면 사자발 모양을 닮았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라 합니다.

1996년부터 개발 보급된 강화의 대표약쑥으로 생육초기에는 줄기가 다소 굵고 보라빛이 있는 흰색이며

강화 자생약쑥 중 가장 품질이 우수한 약쑥 입니다. 사자발쑥이 다른 쑥보다 효능이 좋은 이유는 약쑥을 5월 단오날에 베어

바다바람이 통하는 그늘에서 3년 이상 숙성 시키기 때문 입니다.

 

동의보감에서는 "각종 부인병에 특효약" 이라고 칭하기도 한 사자발쑥은, 잎과 뿌리 줄기에 각기 다른 효능을 가진

약액성분이 함유되어(전초-가로틴, 잎-비타민abc, 뿌리-아르데모즈)

각종 질병예방 및 치료제로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한약시장에서도 강화약쑥을 제일로 치고 있어, 찾는 수요계층도 해마다 증가하고 있습니다.

 

사자발쑥은 효과적 측면에서는 각종 질병에 대한 예방과 치료에 효능이 있고,

작용적 측면에서는 억제작용을 통해 진통,진정, 제지 등 기능 항진을 억제하는데 효능이 있습니다.

사자발쑥은 다양한 생리 활성 성분을 함유하고 있고 여러가지 질병 예방에 좋습니다.

 

약쑥에 담긴 비밀

 

글 출처 일침명의 해 뜨는 나루-감사합니다

 

 

첫째, 약쑥은 모세혈관을 튼튼하게 하는 작용이 뛰어나다.

87세 된 할머니가 중풍으로 쓰러져 반신불수가 된 것을 쑥으로 치료한 적이 있다.

할머니는 평소에 혈압이 높아 최고 혈압이 180쯤 되었다고 한다.

품질 좋은 싸주아리쑥 잎을 차로 달여 조금씩 마시게 했더니 7일만에 혈전이 다 풀리고 회복되어 마음대로 걸어 다닐 수 있게 되었다.

그때 혈압을 재어보니 220이 넘었다. 계속 쑥을 달여 먹었으나 혈압은 더 낮아지지 않았다.

그러나 혈관이 몹시 튼튼해져서 다시는 중풍으로 쓰러지는 일이 없이 99살까지 건강하게 살다 돌아가셨다.

약쑥은 혈관을 튼튼하게 하여 혈압이 높더라도 혈관이 터지지 않게 한다.


혈관의 상태는 눈을 보면 알 수 있다. 눈이 붉게 충혈되고 핏발이 자주 서는 사람은 중풍에 걸릴 위험이 높은 사람이다.

혈압이 높고 낮은 것하고는 큰 상관이 없다. 혈압이 높더라도 모세혈관이 튼튼하면 뇌출혈을 일으키지 않는다.

눈의 혈관은 뇌의 혈관과 거의 같다. 눈이 붉게 충혈될 정도면 이미 수백 수천개의 혈관이 터져 있는 상태인 것이다.

적어도 열개 이상의 핏줄이 터져야 겨우 눈으로 볼 수 있다.
눈이 충혈되었을 때나 핏발이 섰을 때 쑥잎을 달여서 마시면 얼마 지나지 않아서 핏발이 사라진다.

약쑥은 모세혈관을 튼튼하게 할 뿐만 아니라 더 이상 출혈이 일어나지 않도록 막아준다.

 

 
둘째, 약쑥은 파혈작용이 몹시 강하다. 파혈작용이란 죽은 피나 어혈을 분해해서 몸 밖으로 빼내는 작용이다.

지방간과 간경화증에 약쑥이 특효가 있는데, 약쑥이 간에 쌓여 있는 어혈과 지방덩어리를 분해하여 간기능을 회복하여 주기 때문이다.

간은 벌집모양의 많은 방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간기능이 나빠지면 간의 아랫부분에서부터 기름이 끼기 시작하고

간이 울퉁불퉁하게 부어올랐다가 나중에는 딱딱하게 굳는다. 쑥은 이 딱딱하게 굳은 어혈과 기름덩어리를 부수어 몸 밖으로 빼낸다.

간경화증환자가 쑥만 먹고도 나은 사례가 많다.

 

 


셋째, 청혈, 생혈작용이 강하다. 약쑥은 피를 만들어내고 혈액이 온 몸으로 원활하게 흐르게 도와준다.

약쑥은 혈액을 간과 골수에서 만드는데 도움을 주고 몸을 따뜻하게 하며, 기혈의 흐름을 순조롭게 하여 빈혈을 치료하고 예방한다.

약쑥을 먹으면 혈액이 매우 깨끗해진다.

 

 

넷째, 몸을 따뜻하게 하고 생리를 조절하며 낮은 혈압은 올려주고 높은 혈압은 낮추어 혈압을 조절한다.

약쑥은 빈혈, 생리통, 생리불순, 냉증 등을 치료하고, 생즙을 내어 먹으면 혈압을 떨어뜨리고 말려서 먹으면 낮은 혈압을 올려준다.

글 출처 일침명의 해 뜨는 나루(명지대학교 사회교육원 침구학 지도교수)

 

 

강화약쑥이 고지혈증과 비만 예방 및 동맥경화 예방에 효과가 뛰어난 것으로 연구결과 나타났다.

강화군은 한국생명공학연구원(원장 박영훈)과 공동으로 “강화약쑥의 비만 예방 및 혈행 개선 효능”에 관한 연구를 추진한 결과

그 효과가 뛰어난 것으로 판명 됐다고 20일 밝혔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산업바이오소재연구센터 정태숙 박사가 여러 가지 동물 모델을 이용해 실험을 통해 강화약쑥이

고지혈증과 비만 예방 및 동맥경화 예방에 효능을 지니고 있다는 사실을 밝혀 냈고 이 내용은 국제저명학술지(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od Chemistry 25: 1267-1274, 2009)에 게재 됐다.
관련된 국내 특허등록도 완료된 상태다.

 

쥐를 이용한 8주간의 실험에서 지방함량이 높은 사료와 함께 강화약쑥 주정추출물을 경구 투여한 시험군은

비만대조군에 비해 혈중 총콜레스테롤이 7.1% 감소했으며, 중성지방은 22.5% 감소했다. 또한 비만효능 실험을 통해 약 42.9%의

체중 억제 효과를 확인했다.


또한 동맥경화 실험 결과에 잇어서도 동맥경화 발병에 가장 중요한 요인인 산화된 저밀도 지단백질(LDL)의 양이 현저하게 감소했으며

실험동물에 고지방식을 섭취시켜 비만을 유도한 경우에서와 같이 콜레스테롤 함량이 높은 사료를 먹인 실험동물에서도

효과적인 비만 예방 결과를 얻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강화약쑥이 다양한 자극에 의해 일어날 수 있는 염증자극물질의 생성과 동맥경화를 진전시키는

신호전달의 활성을 억제함으로써 동맥경화 및 비만을 예방할 수 있음을 과학적으로 증명했다.

 

강화군은 고지혈증, 비만, 당뇨, 동맥경화등의 발병률 상승과 이로 인한 사망률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것에 주목해

안전성과 효능이 입증된 강화 약쑥을 이용한 비만예방 건강기능식품을 개발하기 위해 관련분야 업체와 산업화를 위한

제반사항을 협의 중에 있다고 밝혔다.

한편 현재 시판되고 있는 대부분의 고지혈증 치료제는 값이 비싸고 오랫동안 복용하면 부작용의 위험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림 1. 강화약쑥의 비만 예방 효능. 8주간 고지방식이와 함께 강화약쑥 주정추출물을 투여한 실험동물의 체중 증가가 고지방식이군에 비해 현저하게 억제된 결과.




그림 2. 강화약쑥의 동맥경화 예방 효능. 8주간 강화약쑥 주정추출물을 투여 후 실험동물의 동맥병변 형성이 대조군에 비해 현저하게 감소된 결과.

※강화약쑥 알코올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대한민국 특허등록 10-0865513. 2008년 10월 21일

연구에 따르면 약쑥의 유효성분 중 하나인 '유파폴린'(eupafolin)은 자궁암이나 폐암 세포주의 세포사멸을 유도하는 특정 단백질 군의 활성을 촉진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센터는 또 유파폴린이 대표적 항암제인 시스플라틴보다 암 세포주에서는 높은 독성을 보였지만, 정상 세포주에서는 낮은 독성을 보여 기존 항암제보다 효과적인 독성을 나타냈다고 설명했다.

강화 약쑥의 항암효과를 밝힌 국내 연구 결과가 식품과학 전문지인 '분자영양-식품연구'(Molecular Nutrition & Food Research) 54권호에 최근 게재

 

 

 

 

 

 

 

'각종효능~!!' 카테고리의 다른 글

블루베리 효능 ~!!  (0) 2012.08.05
마늘의 효능 ~!!  (0) 2012.08.01
콩잎의 효능 ~!!  (0) 2012.07.29
참옻의 효능 ~!!  (0) 2012.07.28
박하의 효능 ~!!  (0) 2012.07.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