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종효능~!!

인진쑥의 효능 ~!!

코알㉣r 2012. 3. 28. 18:32

인진쑥의 효능

약재에 대하여

국화과에 딸린 여러해살이 풀인 사철쑥 또는 더위지기를 가리킨다. 우리나라 어디에서나 나는데 봄철에

한 뼘쯤 자란 것을 베어 말려서 약으로 쓴다.

음력 3월경에 채취한 것은 약효가 높지만 4월이후에 채취한 것은 약효가 없다고 한다.

모든 쑥 종류는 봄철에는 독이 없지만 여름에는 독이 생긴다.


인진쑥은 1~1.5m까지 자란다. 줄기의 밑부분은 나무처럼 딱딱하고 잎은 두 번 깃털 모양으로 갈라지고 솜털이 빽빽하게 안다. 줄기에서 나는 잎은 한 번만 깃털 모양으로 갈라지고 털이 없다. 갈라진 잎 조각은 모두 실오라기처럼 가늘다.


줄기와 가지 끝에 많은 꽃이 원뿌리 꼴로 모여 피는데 꽃잎은 없고 암술과 수술이 둥글게 뭉쳐 달걀 꼴을 이룬다. 곷은 8~9월에 피어 9~10월에 열매가 익는다.


생당쑥, 댕강쑥, 사철쑥, 더위지기 등의 여러 이름으로 불린다.
봄철에 줄기가 10cm쯤 자랐을 때 채취하여 그늘에서 말려 약으로 쓴다.

[3월 쑥은 약, 4월 쑥은 불쏘시개

- 인진(茵蔯) -


중국의 어느 지방에 얼굴색은 마치 생강 같이 노랗고, 눈은 쑥 들어가고,

비쩍 마른 한 병자가 있었다. 그가 지팡이를 짚은 채로 힘들 게 명의 화타(華陀)를 찾아왔다.

"의원님, 제 병을 고쳐주십시오."

화타가 보니 그가 황달에 걸려 있는 것을 금방 알 수 있었다.

"황달을 치료하는 의원은 한 분도 없었습니다. 저도 방법이 없군요."

병자는 화타마저도 치료하지 못한다는 말을 듣고서 대단히 실망하여 무거운 발걸음을 돌렸다.

그저 죽기만을 기다리는 일밖에는 달리 아무런 방도가 없었다.

불행인지 다행인지 병자는 그렇게 반년을 죽지 않고 보냈다.

화타가 길을 가다가 우연히 황달에 걸렸었던 병자를 다시 만났다.
그 병자는 오히려 얼굴색이 전보다 무척 좋아졌으며, 병은 완전히 나은 것 같았다.

화타는 놀라서 물었다.

"당신의 병을 어느 의원이 치료했습니까? 저에게 알려 주십시오.

제가 그에게 가서 의술을 더 배워야겠습니다."

"전에 선생님을 뵌 후로는 의원에게 찾아간 적이 없습니다. 자연적으로 나았습니다."

화타는 믿지 못하겠다는 얼굴로 다시 물었다.

"그러면 어떤 약을 먹었습니까?"

"아무런 약도 안 먹었습니다."

"참으로 이상한 일이군요!"

화타는 머리를 갸웃거리며 생각했다. 그러자 그가 말을 이었다.

"초봄에 양식이 떨어져 산에 있는 풀을 뜯어 먹으며 살았지요."

"맞아! 바로 그거야! 풀에는 약의 성분이 들어 있어서 당신도 모르는 사이에 병이 치료된 것요.

저에게 알려 주시겠습니까? 당신이 어떤 풀을 먹었고, 또 얼마나 먹었는지?"

"이름은 모르지만, 대충 한 달 가까이 먹었습니다."

화타는 그가 도대체 어떤 풀을 먹었는지 알고 싶어 그와 동행하여 산에 올랐다.

산허리까지 가서 그 사름은 부근에 있는 풀을 가리켰다.

"이것은 쑥이 아닌가?! 이것이 황달을 치료하는 풀이란 말인가? 그래, 이 풀을 캐다가

시험을 해보자!"

화타는 황달에 걸린 환자에게 쑥을 복용하도록 하였다. 몇 번 복용하였지만, 병이 나아지는

기색을 찾아볼 수 없었다. 화타는 예의 황달병 환자가 약초를 잘못 알려준 것이 아닌가

싶어 다시 그를 방문했다.

"당신이 정말 이 쑥을 먹었습니까?"

"맞아요! 바로 이 풀이에요. 틀림없어요."

그 사람은 확신했다. 화타는 잠시 생각하다가 다시 물었다.

"당신이 언제 쑥을 먹었지요?"

"음력 3월경이지요."

"그렇군! 춘삼월에는 만물이 생기를 충만하게 받지, 맞아! 3월의 쑥이 효과가 있는 거야."

이듬해 봄이 되어 춘삼월에 화타는 쑥을 뜯어 황달 환자에게 복용시켰다. 이번에는 효과가 매우

좋았다. 환자는 점점 병의 상태가 호전되었다. 이상한 것은 봄이 지난

쑥은 아무런 효과를 보이지 않는다는 것이다.

화타는 쑥의 약효를 조사하기 위하여 매년 시험을 해보았다. 달마다 채집한 쑥의 뿌리,

줄기, 잎을 구분하여 보관하고 환자에게 복용시켰다. 시간이 흐른 뒤, 마침내 새싹의

잎과 줄기가 황달을 치료하는 약이 된다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화타는 사람들에게 이를 구별시키기 위하여 새싹의 잎을 <인진(茵蔯)>이라 이름 지었다.

황달이 치료되지 않은 원인은 오래된 쑥이었기 때문에 이런 뜻의

<인진(因蔯)>에다 풀 초(艸)를 붙여 인진(茵蔯)으로 명명하였다.

화타는 이런 시를 지었다.

삼월적봉규인진(三月的蓬叫茵蔯)

사월생적지시봉(四月生的只是蓬)

희망후인요뢰기(希望後人要牢記)

삼월적인진능치병(三月的茵蔯能治病)

사월적봉지능당시소(四月的蓬只能當柴燒)


삼월의 쑥은 인진이라 부르고,

사월의 생긴 것은 쑥이다.

후세 사람들은 꼭 기억하길 바란다.

삼월의 인진은 병을 치료하지만,

사월의 쑥은 단지 불쏘시개감이다.]

약성 및 활용법

예부터 간을 이롭게 하는 약초로 이름이 높다. 또한 황달에 효험이 큰 약으로 이름 높다. 이담작용이 높아

담즙을 많이 나오게 하는 동시에 담즙 속의 덩어리와 콜산, 빌리루빈을 밖으로 배출하여 간을 깨끗하게 한다. 또한 혈압을 낮추고 열을 내리며 결핵균을 비롯한 갖가지 균을 죽인다.


맛은 쓰고 매우며 성질은 매우 차다. 방광경, 비경, 위경에 작용한다. 열을 내리고 습을 없애며, 소변을 잘 보게 한다. 약리실험에서 담즙분비 촉진작용, 이뇨작용, 해열작용 등이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인진쑥은 발암곰팡이와 발암독물을 억제하는 힘이 매우 강해서 항암제로서도 가능성이 있다.인진쑥

달인 물은 암세포를 21% 억제하는 것이 실험으로 확인되었다.


인진쑥은 민간에서 황달이나 간염, 간경화 등 간장병 치료에 흔히 쓴다. 생즙을 내어 먹기도 하고 말려서 달여 먹기도 하며 오래 고아서 조청을 만들어 먹기도 한다.

증상별 적용 및 복용법

급,만성간염, 황달, 간경화증 등 제반 간질환에 탁월한 효험이 있는 방법으로 인진쑥과 삽주 뿌리를 각각 같은 양으로 두고 거기에 물을 약재 분량의 3배쯤 붓고 10시간쯤 달여서 찌꺼기는 건져 내고 남은 국물을 물엿처럼 될 때까지 천천히 달인 다음 그 양의 1/3쯤 복령가루를 넣고 콩알 만하게 알약을 만들어 한번에 5~10개씩 하루 세 번 밥먹기 전에 먹는다.


또는 인진쑥 800g, 대황 40g, 치자 40g에 물을 약재 분량의 3배쯤 붓고 물이 절반으로 줄어들 때까지 달여서 그 물을 하루 세 번 밥먹고 나서 한번에 한 사발씩 따뜻하게 데워서 마신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인진쑥과 솔잎, 대추를 각각 같은 양으로 하여 물을 많이 붓고 진하게 달여서 한번에 한 사발씩 하루 세 번 밥먹기 전에 마셔도 좋은 효과가 있다.

▶ 만성 위염에는 인진쑥 3kg과 삽주 뿌리 3kg을 각각 따로 달여서 찌꺼기는 버리고 달인 꽃만을 섞은 다음 다시 물엿처럼 될 때까지 약한 불로 천천히 달여서 콩알 만하게 알약을 만들어 두고 한번에 다섯 알씩 하루 세 번, 밥먹기 전에 먹는다.

변비와 설사에는 인진쑥 20~30g을 진하게 달여서 마신다.

▶ 종기와 부스럼에는 인진쑥을 진하게 달여서 그 물로 환부를 자주 씻는다.

▶ 주근깨가 심한 경우에는 인진쑥 10g, 율무 15~20g을 함께 달여서 그 물을 하루 세 번 밥먹기 전에 마신다.

▶ 복통이 있을 때에 인진쑥 10~20g에 물 반 되를 넣고 반쯤 줄어들 때까지 달여서 그 물을 마신다. 요통, 천식, 치질로 인한 출혈, 만성 간염 등에도 효험이 있다.

▶ 구내염이나 입에서 냄새가 날 때는 인진쑥을 잘게 썰어 담배처럼 말아서 하루 2~3대 피우되 연기를 빨아 머금고 1~2분 있는다. 인진쑥은 독을 풀고 균을 억제하는 작용이 있어 구내염을 효과적으로 치료한다.


img1.jpg
산비탈 등에 자생하는 줄기가 죽지 않는 "인진쑥"

img1.jpg
인진쑥은
이담작용, 이뇨작용, 해열작용, 황달, 급성 및 만성 간염, 위염, 배뇨장애를 치료한다

'각종효능~!!'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미래덩굴 효능 ~!!  (0) 2012.04.03
야생 돌복숭아 효능   (0) 2012.03.30
씀바귀의 효능 ~!!  (0) 2012.03.27
아욱의 효능 ~!!  (0) 2012.03.25
딸기의 효능 ~!!  (0) 2012.03.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