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종효능~!!

초오.바꽃 ...

코알㉣r 2012. 2. 18. 23:47

약용본초 각론  103. (초오.바꽃)

 

 

 

부자와 초오는 기원이 같습니다.

즉 같은 식물에서 나옵니다.

부자와 초오는 둘 다 기원은 미나리아 제비과에 속한 바꽃의 뿌리를 쓰는데 초오에 달려 있는 둥근 뿌리를 부자라고 합니다.
같은 뿌리에서 나오지만 초오에 딸린 뿌리가 부자입니다. 따라서 초오가 부모고 부자가 아들입니다.

 

 

 

 

 

 

 


보통 부자를 천웅이라고도 하지요.

또한 초오와 다르게 천오라는 것도 있는데 인공으로 재배한 것을 천오라고 하고 야생에서 채취한 것을 초오라고 합니다.

따라서 야생의 초오가 약효가 더 세지요.



염부자는 소금에 절인것을 말하고,포부자는 생부자의 외피를 벗기고,

세로로 두 쪽으로 쪼개어 염로에 담근 뒤에쪄서 흑설탕 시럽 속에 넣고 염색한 다음 말린것을 말합니다.

 

찐 부자를 유황 연기로 쪄서 표백하여 반투명체로 한 것을 백하부자라고 합니다.

경포부자는 생강 끓인 물에 담궜다가 볶는 것입니다.


이렇게 하는 것은 부자의 독을 줄이기 위해서이지요.

백부자는 중국에서 쓰는 것과 우리나라에서 쓰는 것이 다릅니다.

백부자는 기원이 미나리아 제비과에 속한 흰바꽃, 노랑돌쩌귀의 뿌리이지요. 부자의 용도와는 다릅니다.

마찬가지로 약간의 독이 있습니다.


지부자는 부자와 상관 없구요, 열을 내리고 소변을 나가게 하며 피부가 가려운 증상에사용하는 약입니다.

향부자도 부자와 전혀 상관 없고 부인과에 주로 쓰는 약이지요.

이름만 부자가 붙었을 뿐입니다. 부자와 초오는 같은 뿌리이지만 약효의 세기가 다르므로 구분해서 사용합니다.

 

 

이 약은 냄새가 없고 혀를 마비시키며 맛은 몹시 맵고 쓰며 성질은 뜨겁고 독이 많다.

[]초오는 두통, 복통, 종기, 반신불수, 인사불성, 구안와사에 쓰인다.

풍습증으로 인한 마비증상이나 인사불성, 류머티즘성관절염, 신경통, 요통, 파상풍 등을 치료하며

배가 차가워서 생기는 복통 등에 응용된다.약리작용으로 진통, 진정, 항염, 국부마비완화 작용이 있으며

다량 복용시 심장운동흥분작용이 보고되었다.

 

 

생김새는 고르지 않은 원추형으로 위쪽에는 줄기 자국이 남아 있고

바깥 면은 회갈색 또는 흑갈색으로 쭈그러진 세로주름이 있다.

꺾은 면은 어두운 회색으로 다각형의 고리무늬 층으로 이루어져 있고 질은 단단하다.

 

 

다른 이름으로 토부자(), 간급근(茛芨), 경자(), 금아(), 독공(), 독백초(),

사망(), 오두(), 오훼(), 원앙국(), 죽절오두(), 해독(), 초오두() 등이 있다.

그 싹을 간급근(茛芨), 끓인 즙을 사망()이라고 한다.

 

 

 

 

독초지만  힘이 나게 하는데 좋은 약초
초오는 옛날 임금이 죄를 지은 신하를 죽일 때 달여 먹이기도 한 독초이다. 

그러나 초오는 독초이기도 하지만 몸을 따뜻하게 하고 힘이 나게 하는데 좋은 약초이기도 하다. 

 신경통, 관절염, 중풍, 당뇨병, 냉증 등에도 효험이 크다. 

초오를 많이 먹으면 중독되어 목숨을 잃을 수도 있지만 조금씩 먹으면 기운이 세어지고

뱃속이 더워지며 위와 장, 간, 신장이 튼튼해진다.

 

 

산속에서 무술 수련을 하거나 정신 수련을 하는 사람들은 흔히 초오를 캐서 조금씩 먹는다. 

여덟 살 때부터 열아홉 살 때까지 13년 동안 산속에 사는 도인한테 택견을 배운 박성호 씨는 산에 다닐 때

수시로 초오를 캐서 먹는다고 했다. 

처음에는 한 뿌리의 3분의 1쯤부터 시작하여 차츰 양을 늘려 나가는데 습관이 되면 한 번에 서너 뿌리도 먹을 수 있다고 했다.

 

 

모르는 사람은 아예 입에 대지 않거나

먹더라도 5분의 1이나 3분의 1뿌리쯤 먹는 것이 안전하다. 

얼마 전에 태백산에서 빈속에 초오 한 뿌리를 먹고 중독되어 서너시간 동안 사경을 헤맨 적이 있다. 


 


팔다리가 뻣뻣해지고 눈앞이 하얗게 되어 앞이 전혀 보이지 않으며

 

식은땀이 나고 한기가 들며 맥박이 1분에 30회까지 떨어졌다.

 

초오에 중독되었을 때는 검정콩과 감초를 진하게 달여서 먹거나 잔대 뿌리 또는 청미래덩굴 뿌리를 달여서 먹으면 풀린다. 

 

검정콩이나 감초를 구하기 어려우면 흑설탕을 진하게 끓여서 한 잔 마시면 된다. 

초오는 당뇨병에도 효험이 크다.

초오 한 뿌리에 물 18리터씩 마신다.

초오달인 물은 반드시 차갑게 식혀서 마셔야 한다. 

뜨거울 때 마시면 중독되어 목숨을 잃을 수도 있다. 

제주도에 사는 민간 의사 김병성 할아버지는 초오를 써서 당뇨병을 치료하는 데 큰 효과를 본 사람이 많다고 했다.

(글/ 한국토종약초연구소 회장 최진규)   

 

 

'각종효능~!!'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율금 = 강황 = Turmeric   (0) 2012.02.28
쇠비름의 효능 ~!!  (0) 2012.02.20
다슬기의 효능 ~!!  (0) 2012.02.16
쑥이 여성의 몸에 미치는 효능  (0) 2012.02.15
야생 돌복숭아 효능 ~!!  (0) 2012.02.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