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종효능~!!

작두콩의 효능 ~!!

코알㉣r 2012. 6. 11. 01:11

학명 :Canavalia ensiformis DC.

분류군 :콩과

잎은 3출엽으로서 원줄기와 더불어 털이 없고 소엽은 난상 긴 타원형이며 길이 10cm로서 끝이 뾰족하고 엽병이 짧다.

열매는 협과로 길이 30cm, 폭 5cm로서 뒷등이 편평하며 작두 같고 10-14개의 종자가 들어 있다. 종자는 편평하며 홍색 또는 백색이고 선상의 제부(臍部)와 길이가 거의 같다.

엽액에서 긴 화경이 자라 끝이 활같이 굽으면서 10여개의 꽃이 수상으로 달리며 화서는 길이 7cm이고 꽃은 8월에 피며 연한 홍색 또는 백색이고 접형화로서 극히 짧은 화병이 있다. 꽃받침은 종형이며 2개로 갈라지고 기판은 둥글며 접혀지고 10개의 수술과 1개의 암술이 있다.

원산지

구대륙 열대 원산으로, 중부 이남에 재배.

분포

중부이남에 식재.

형태

덩굴성 일년초.

어린 꼬투리를 식용으로 한다. 북한에서 펴낸 <동의학사전>에서는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대도추(大刀豆) //작두콩, 도두(刀豆), 도두자(刀豆子)// [약용식품]

콩과에 속하는 작두콩(Canavalia ensiformis DC.)의 여문 씨를 말린 것이다. 각지에서 심는다. 가을에 콩꼬투리를 따서 씨를 내어 말린다. 맛은 달고 성질은 따뜻하다. 위경, 대장경에 작용한다.

중초(中焦)를 덥혀 주고 기(氣)를 내리며 신기(腎氣)를 보한다. 약리실험에서 항종양활성을 나타낸다. 허한성 딸꾹질, 구토, 고창(鼓脹: 헛배 부른 데), 신허요통(腎虛腰痛), 가래가 나오면서 기침하는 데 등에 쓴다.

하루 9∼15g을 부스러뜨려 달여 먹거나 검게 볶아 가루내어 먹는다. 대도두 깍지는 구토, 딸꾹질, 이질 등에 쓰며, 뿌리는 두통, 요통, 이질, 타박상 등에 쓴다.]

작두콩의 채취는 가을에 종자가 여물면 열매를 따서 말린 다음 종자를 채취한다. 또는 먼저 벗겨내어 종자를 채취하여 말린다.


중국의 <중약대사전>에서는 작두콩의 성분과 약리작용에 대해서 이렇게 알려주고 있다.

성분

작두콩의 성분은 종자에는 urease, hemagglutinine, canavanine 등이 들어 있다. 어린 콩에는 canavalia gibberellin Ⅰ과 Ⅱ가 들어 있고, 기타 starch, protein, fat 등이 들어 있으며, 잎에도 canavanine이 들어 있다. C. ensiformis에는 concanavalia A 등 몇 가지의 globulin이 들어 있으며 이밖에 urease, glucosidase, argininosuccinase, arginase, canaline, canavanine, 1-α-amino-δ-hydroxyvaleric acid, 1-homoserine 등이 들어 있다. 근래에 concanavalia A가 종양세포에 대하여 특수한 작용이 있는 것이 발견되어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약리

작두콩의 약리작용은 양도두(洋刀豆)의 concanavalin A는 식물혈구응집소(PHA)의 일종으로서 항 종양작용이 있다. 구체적 특성은 '채두(菜豆)'의 항을 참조한다. concanavalin A는 사람의 임파구를 변형시키지만(즉, 임파세포가 자극을 받아 림프모(임파모:淋巴母) 세포(Lymphoblast)로 변하게 된다) 상응되는 세포 독성이 생기지 않은 것이 아니고 다른 PHA로 인하여 생기는 세포 독성을 억제시킨다. 김전서(金田鼠)의 태아에서 concanavalin A는 바이러스나 발암제로 처리한 후 얻은 변형세포에 대한 독성이 정상 세포에 대한 독성보다 컸다. concanavalin A는 (트립신{trypsin}으로 처리한 것) 종양 세포 변형후(mouse의 변형된 섬유모:纖維母 세포)를 정상 세포의 생장상태로 회복시킨다. concanavalin A와 맥아(麥芽), 대두(大豆) 속의 glucoprotein(PHA)은 YAC세포(일종의 Moloney 바이러스가 일으킨 복수형(腹水型) 림프 종양세포)를 응집시키지만 concanavalin A에는 YAC세포에 대하여 뚜렷한 독성 작용이 있었다. in vitro에서 125㎍의 concanavalin A와 YAC세포를 24시간 함께 배양하면 95%의 세포가 용해되었다. in vitro 시험에서 성장한 mouse의 복강에 YAC세포를 주입한 후 1시간, 2일, 5일 후에 다시 concanavalin A 1mg을 복강 주사하면 종양 억제율이 각각 70%, 50%, 20%였다. concanavalin A는 각종 발암제에 의해 변형된 세포를 응집시키지만 정상 세포에 대해서는 트립선 처리를 거쳐야만 응집된다. 이러한 응집 작용은 α-methyl-D-mannopyranoside와 경쟁적 길항 작용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로부터 concanavalin A는 변형된 세포 포면막(膜)의 glucose 혹은 mannose와 같은 부위가 밀폐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작두콩의 맛은 달고 성질은 따뜻하며 독이 없다. 온중하기(溫中下氣), 온신보원(溫腎補元)한다. 허한(虛寒)으로 인한 딸꾹질, 구토, 복창(腹脹), 신허요통(腎虛腰痛), 담천(痰喘)을 치료한다.

하루 11~19g을 물로 달여서 먹거나 혹은 약성이 남게 볶은 다음 갈아서 가루로 만들어 먹는다.


주의사항으로 <사천중약지>에서는 "위열(胃熱)이 성한 자는 복용에 주의해야 한다."고 적고 있다.

작두콩의 꼬투리 껍질인 도두각은의 채취는 가을에 작두콩이 여물면 콩을 털어서 콩코뚜리를 말린다. 건조하고 통풍이 잘되는 곳에 보관하여 벌레 먹는 것을 방지해야 한다.

도두각의 맛은 달고 성질은 평하며 독이 없다. 화중하기(和中下氣)하고 어혈을 없애며 혈액순환을 촉진하는 효능이 있다. 반위(反胃), 딸꾹질, 만성 이질, 무월경, 후비(喉痺), 후선(喉癬)을 치료한다.

하루 11~19g을 물로 달여서 먹는다. 외용시 약성이 남게 태운 다음 갈아서 가루로 만들어 뿌린다.


작두콩의 뿌리인 도두근의 맛은 쓰고 성질은 따뜻하고 독이 없다. 신경성 두통, 류마티스성 요척통(腰脊痛), 산증, 만성 이질, 무월경, 타박상을 치료한다.

하루 11~19g을 물로 달여서 먹는다. 외용시 짓찧어 바른다.


위염, 위궤양, 장염, 장궤양 등 위와 장의 병을 치료한다. 작두콩은 뱃속을 따뜻하게 하고 체한 것을 내리며 뱃속을 편안하게 한다.

항암 효과가 높다. 시험관 실험에서 작두콩 추출액이 암세포를 24시간 동안에 95%를 죽이는 것이 확인되었다.

천식에도 효과적이다. 작두콩은 가래와 기침을 삭이는 작용이 있어 오래 고생하던 천식도 작두콩으로 고친 사례가 적지 않다고 한다.

관절염, 신허 요통에 효과가 크다. 신장을 튼튼하게 하고 이수작용이 있으므로 관절염, 신허요통, 변비, 비만증 등을 두루 치료한다.

종자는 刀豆(도두), 果殼(과각)은 刀豆殼(도두각), 근(根)은 刀豆根(도두근)이라 하며 약용한다.

刀豆(도두)

가을에 종자가 익은 과실을 따서 햇볕에 말려 종자만 꺼낸다. 또는 먼저 종자를 까서 말린다. 사용할 때는 빻아 쓴다.

성분 : 작두콩에는 urease, 血球凝集素(혈구응집소), canavanine이 함유되어 있고 幼豆(유두)에서는 canavaliagibberellinⅠ 및 Ⅱ가 분리되고 기타 성분으로는 전분, 단백질, 지방 등이 함유되어 있고 잎에도 canavanine이 함유되어 있다.

약효 : 溫中(온중), 下氣(하기), 益腎補元(익신보원)의 효능이 있다. 虛寒(허한)으로 인한 逆(애역), 구토, 腹脹(복창), 腎虛腰痛(신허요통), 痰喘(담천)을 치료한다.

용법/용량 : 9-15g을 달여서 복용한다. 또는 약성이 남을 정도로 태워서 粉末(분말)하여 복용한다.

刀豆殼(도두각)

가을철에 과실이 익으면 과실을 까 낸 果殼(과각)을 햇볕에 완전히 건조하여 통풍이 잘 되는 곳에 충해를 받지 않도록 잘 저장한다.

약효 : 和中(화중), 下氣(하기), 散瘀(산어), 活血(활혈)의 효능이 있다. 反胃(반위), 逆(애역), 慢性下痢(만성하리), 閉經(폐경), 喉痺(후비-喉頭結核(후두결핵), 喉頭梅毒類(후두매독류)), 喉癬(후선)을 치료한다.

용법/용량 : 9-15g을 달여 복용한다.

외용 :燒存性(소존성)으로 粉末(분말)하여 살포한다.

刀豆根(도두근)

약효 : 頭風(두풍), 류머티즘에 의한 腰,脊椎痛(요, 척추통), 疝氣(산기), 장기(長期)의 下痢(하리), 閉經(폐경), 타박상을 치료한다.

용법/용량 : 9-15g을 달여서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서 붙인다.

약성 :맛은 달고 성질은 따뜻하다.

주의 :위열(胃熱)이 성(盛)한 사람은 신중하게 복용한다.

작두콩은 그 빛깔이 붉은 것, 흰 것, 검은 것 등이 있으나 모두 동일하게 식용하거나 약용으로 사용한다.

동양의학에서

붉은색은 심장에 들어가 작용한다. (심장+소장+불+쓴맛+붉은색+기쁨+피+여름+열+남쪽+혀+말하는것+단내+땀)

흰색은 폐장에 들어가 작용한다. (폐장+대장+쇠+매운맛+흰색+슬픔+피부+가을+건조+서쪽+코+우는것+비린내+콧물)

검은색은 신장에 들어가 작용한다. (신장+방광+물+짠맛+검정색+두려움+뼈+겨울+추위+북쪽+귀+신음하는 것+썩는냄새+가래)

기체(氣滯)로 인하여 딸꾹질이 나고 가슴이 답답한 증상 :터져 갈라진 묵은 작두콩 7.5~11g을 끓인 물로 먹는다. [의급, 도두산]

신허요통(腎虛腰痛) :작두콩 2알을 돼지콩팥에 넣고 잎으로 싸서 삶아 먹는다. [중경초약]

백일해 :작두콩 10알(부스러뜨린 것), 감초 3.7g에 빙당(氷糖) 적당량과 물 한 잔반을 넣고 한 잔으로 졸아들 때까지 달여서 찌꺼기를 버리고 자주 마신다. [강서중의약]

축농증 :묵은 작두콩을 약한 불에 말려 가루 내어 11g을 술로 먹는다. [연희요집험양방]

어린아이의 산증(헤르니아) :작두콩 가루 5.6g을 끓인 물에 타서 먹는다. [호남약물지]

위염 :작두콩은 뱃속을 따뜻하게 하고, 체한 것을 내리며 뱃속을 편하게 한다. 가루 내어 복용한다.

관절염 :작두콩 몇 개를 돼지콩팥에 넣고 작두콩잎으로 싸서 푹 쪄서 먹는다.

치조농루, 구내염 :작두콩은 이뿌리에서 고름이 나와서 칫솔질하기가 어렵고 입안에서 냄새가 나는 증세에 효과가 좋다. 작두콩 차를 마시되 마시기 전에 입 속에서 입가심을 한 뒤에 삼키도록 한다. 심한 치조농루도 대개 10일 이내에 완치된다.

치루, 치질 :작두콩을 가루 내어 먹거나 차로 마시고 심한 치질, 치루가 완치된 사례가 많다. 수술은 몇 번씩 해도 낫지 않던 치질이 작두콩을 한두 달 먹고 깨끗하게 나은 사례가 여럿 있다.

그 외에도 변비, 딸꾹질, 설사, 치질, 비만, 중이염, 타박상, 구내염, 기침, 멍든데, 소아산기, 임신으로 인한 요통, 장염 등을 치료한다.